대곡소사선은 소사원시 노선을 연장하여 대곡까지 연결한 노선입니다. 대곡소사선의 모든 역은 환승역 역할을 하게 되는데요. 대곡역과 부천종합운동장역을 통해 GTX A, B, D로 환승 가능할 전망이며, 원종역을 통해 홍대입구역까지 가는 원종홍대선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대곡소사선 노선도
대곡소사선의 전체 노선 및 기본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건설: 서부광역철도 현대건설 컨소시엄
- 노선 거리: 18.36km
- 전체 역: 6개(소사역, 부천종합운동장역, 원종역, 김포공항역, 능곡역, 대곡역)
- 개통 일정: 원종-대곡 2023년 6월 예정
- 배선: 복선
- 차량: 통근 전동차(4량, 10편성), 여객 및 화물열차(코레일)
대곡소사선은 수도권 내부순환철도의 일부로 서해선인 소사-원시 노선을 북쪽으로 연장하여 김포공항 및 대곡까지 연결하는 노선입니다. 장기적으로는 경기도 순환철도망을 구성하고, 광양항까지 연결하여 물류 철도 역할도 할 수 있도록 계획된 노선입니다.
위와 같은 장기적인 계획을 기반으로 대곡소사선은 지하 구간임에도 불구하고 화물열차가 운행될 예정입니다. 대곡소사선은 처음 개발 계획 발표 당시 2021년 6월 개통을 목표로 했었는데요. 한강 하저터널 공사 및 종합시험운행 일정 연장으로 인해 최종 개통이 2023년 6월로 연기되었습니다.
GTX 환승 가능한 대곡소사선 역
대곡소사선 역 중 GTX로 환승 가능한 역은 대곡역과 부천종합운동장역입니다.
▶ 대곡역
대곡역으로는 GTX A노선이 지나갈 예정입니다. GTX A노선은 파주 운정역을 시작으로 동탄역까지 이어지는 노선인데요. GTX A를 이용하면 대곡역에서 삼성역까지 20분대에 도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GTX A노선은 수도권 북쪽과 남쪽을 관통하다 보니 노선이 길어져 구간별로 개통 시기가 조금 차이가 있는데요. 이 글을 작성하는 시점 기준으로 GTX A 구간별 개통 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2024년 6월 운정-서울역 구간 개통
- 2025년 11월 창릉과 삼성역을 제외한 모든 구간 개통
- 2026년 창릉역 개통
- 2028년 삼성역 개통
▶ 부천종합운동장역
부천종합운동장역은 GTX B노선과 D노선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환승역이 될 전망인데요. 단 해당 노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현재 계획 단계에 있기 때문에 개통 일정은 아직 공개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원종홍대선 환승 가능한 대곡소사선 역
대곡소사선역 중 하나인 원종역은 원종홍대선으로 갈아탈 수 있는 환승역이 될 것으로 전망되는데요. 원종홍대선은 홍대입구역까지 연결되는 노선으로 원종역까지 노선 확장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사실상 대곡소사선의 모든 정차역들이 서울 및 주요 수도권으로 연결되는 GTX 노선, 3호선, 7호선, 9호선, 원종홍대선 등으로 갈아탈 수 있는 환승역 역할을 하여 해당역 주변 부동산은 큰 수혜를 입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현재 전체 구간 중 소사에서 원종 구간은 개통이 된 상태인데요. 소사원시선과 대곡소사선이 연결되는 서해선의 선형이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와 비슷하기 때문에 고속도로의 정체 완화에도 도움이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살기 좋은 도시 및 동네 순위 알아보기 (0) | 2023.10.07 |
---|---|
아파트 브랜드별 하자 분쟁 많은 건설사 순위 (0) | 2023.09.29 |
종합부동산세 세율 및 공제금액 개정안 정리 (0) | 2023.01.31 |
전세보증보험 종류 및 전세금 반환 조건 확인하기 (0) | 2023.01.14 |
특례보금자리론 금리 조건이 위험할 수도 있는 이유 (0) | 2023.01.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