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대곡소사선 노선 및 정차역 중 GTX 환승역 정리

by ㅿㆁ 2023. 2. 7.

대곡소사선은 소사원시 노선을 연장하여 대곡까지 연결한 노선입니다. 대곡소사선의 모든 역은 환승역 역할을 하게 되는데요. 대곡역과 부천종합운동장역을 통해 GTX A, B, D로 환승 가능할 전망이며, 원종역을 통해 홍대입구역까지 가는 원종홍대선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대곡소사선 노선도

대곡소사선의 전체 노선 및 기본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대곡소사선 노선도
대곡소사선 노선도

  • 건설: 서부광역철도 현대건설 컨소시엄
  • 노선 거리: 18.36km
  • 전체 역: 6개(소사역, 부천종합운동장역, 원종역, 김포공항역, 능곡역, 대곡역)
  • 개통 일정: 원종-대곡 2023년 6월 예정
  • 배선: 복선
  • 차량: 통근 전동차(4량, 10편성), 여객 및 화물열차(코레일)

대곡소사선은 수도권 내부순환철도의 일부로 서해선인 소사-원시 노선을 북쪽으로 연장하여 김포공항 및 대곡까지 연결하는 노선입니다. 장기적으로는 경기도 순환철도망을 구성하고, 광양항까지 연결하여 물류 철도 역할도 할 수 있도록 계획된 노선입니다.

 

위와 같은 장기적인 계획을 기반으로 대곡소사선은 지하 구간임에도 불구하고 화물열차가 운행될 예정입니다. 대곡소사선은 처음 개발 계획 발표 당시 2021년 6월 개통을 목표로 했었는데요. 한강 하저터널 공사 및 종합시험운행 일정 연장으로 인해 최종 개통이 2023년 6월로 연기되었습니다.

 

 

GTX 환승 가능한 대곡소사선 역

대곡소사선 역 중 GTX로 환승 가능한 역은 대곡역과 부천종합운동장역입니다.

 

대곡역

GTX 환승역인 대곡역
GTX 환승역: 대곡역

대곡역으로는 GTX A노선이 지나갈 예정입니다. GTX A노선은 파주 운정역을 시작으로 동탄역까지 이어지는 노선인데요. GTX A를 이용하면 대곡역에서 삼성역까지 20분대에 도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GTX A노선은 수도권 북쪽과 남쪽을 관통하다 보니 노선이 길어져 구간별로 개통 시기가 조금 차이가 있는데요. 이 글을 작성하는 시점 기준으로 GTX A 구간별 개통 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2024년 6월 운정-서울역 구간 개통
  • 2025년 11월 창릉과 삼성역을 제외한 모든 구간 개통
  • 2026년 창릉역 개통
  • 2028년 삼성역 개통

 

 

부천종합운동장역

GTX 환승역인 부천종합운동장역
GTX 환승역: 부천종합운동장역

부천종합운동장역은 GTX B노선과 D노선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환승역이 될 전망인데요. 단 해당 노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현재 계획 단계에 있기 때문에 개통 일정은 아직 공개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원종홍대선 환승 가능한 대곡소사선 역

대곡소사선역 중 하나인 원종역은 원종홍대선으로 갈아탈 수 있는 환승역이 될 것으로 전망되는데요. 원종홍대선은 홍대입구역까지 연결되는 노선으로 원종역까지 노선 확장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원종홍대선 노선도
원종홍대선 노선도

 

 

 

사실상 대곡소사선의 모든 정차역들이 서울 및 주요 수도권으로 연결되는 GTX 노선, 3호선, 7호선, 9호선, 원종홍대선 등으로 갈아탈 수 있는 환승역 역할을 하여 해당역 주변 부동산은 큰 수혜를 입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현재 전체 구간 중 소사에서 원종 구간은 개통이 된 상태인데요. 소사원시선과 대곡소사선이 연결되는 서해선의 선형이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와 비슷하기 때문에 고속도로의 정체 완화에도 도움이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