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살기 좋은 도시 순위를 보면 경기도 소재 도시 및 동네가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023년 발표한 살기 좋은 도시 순위를 보면 상위 10위 중 7곳이 경기도 내 도시였는데요. 범위를 넓혀 30위 권에서도 경기도 도시들은 13곳이 포함되었습니다.
경기도 소재의 도시가 살기 좋은 도시 상위권에 많이 포함된 이유는 경제 수준, 치안, 교통 등 안전 인프라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서울과 접근성이 좋은 점도 큰 영향을 차지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경기도에서 살기 좋은 도시 상위 15곳을 정리해 봤습니다.
도시 순위는 사회안전지수 점수를 기준으로 정리되었는데요. 사회안전지수는 크게 아래 4개 분야의 73개 세부항목 지표를 토대로 산출되었습니다.
- 경제활동
- 생활안전
- 건강보건
- 주거환경
경기도 살기 좋은 도시 상위 15곳
사회안전지수 기준 경기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 15곳을 순위별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1위 과천시
과천시의 사회안전지수 총 점수 및 전국 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 총 점수: 62.60점
- 전국 순위: 1위
과천시는 2년 연속 전국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에 선정되었습니다. 치안이나 교통 등이 압도적으로 좋았고, 범죄 없는 동네와 안전한 동네라는 인식이 있었습니다. 작은 인구에 도시 생활 인프라가 매우 잘 갖추어진 도시였습니다. 과천시는 매년 생활안전(72.64점) 분야가 다른 도시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경제활동(59.76점), 건강보건(58.03점) 분야는 다른 도시에 비해 특이할 것이 없지만 주거환경(54.69점) 분야는 경기도 다른 도시보다 점수가 매우 높게 나왔습니다. 세부적으로 보면 치안이 70.85점(1위), 소방 72.91점(2위), 교통안전 73.71점(4위)으로 전국 최상위권을 기록했습니다.
▶ 2위 성남시
성남시의 사회안전지수 총 점수 및 전국 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 총 점수: 59.37점
- 전국 순위: 5위
2022년 4위에서 2023년 5위로 순위가 한 단계 내려갔습니다. 성남시는 경제활동(65.16점), 건강보건(60.77점) 분야의 점수가 매우 높았습니다. 성남시도 개발이 오래된 도시로 주거환경 분야가 45.94점으로 매우 낮았습니다. 세부항목별로는 소득 항목이 77.16점(7위)으로 가장 높았고, 복지(66.45점), 노후, 의료환경 항목이 전국 평균치 보다 크게 높았습니다.
▶ 3위 의왕시
의왕시의 사회안전지수 총 점수 및 전국 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 총 점수: 59.26점
- 전국 순위: 6위
2022년 25위에서 2023년 6위를 기록하여 전국 10위권 도시 중 가장 큰 상승을 보여주었습니다. 의왕시는 경제활동(56.0점) 분야의 점수가 낮았고, 생활안전 분야는 67.71점으로 전국에서 2번째로 높았습니다. 건강보건(59.25점) 분야는 2022년 115위에서 43위로 가파르게 상승했습니다. 주거환경(51.74점) 분야도 다른 경기도 도시에 비해 높은 점수를 기록했습니다. 세부항목별로는 생활안전 지표가 가장 높았고 주민들의 건강상태(71.71점)가 많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4위 하남시
하남시의 사회안전지수 총 점수 및 전국 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 총 점수: 59.07점
- 전국 순위: 8위
하남시는 2021년 27위, 2022년 17위에서 2023년 8위로 매년 순위가 상승하는 도시입니다. 위례신도시, 미사강변도시가 정비되면서 주거환경이 크게 개선되고 있으며, 인구도 매우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경제활동(63.04점) 분야를 중심으로 생활안전, 건강보건 분야 또한 높은 점수를 받았습니다.
▶ 5위 안양시
안양시의 사회안전지수 총 점수 및 전국 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 총 점수: 58.72점
- 전국 순위: 11위
안양시는 소득 항목의 지표가 크게 오르면서 처음으로 10위권에 진입했습니다. 안양시도 군포시처럼 생활안전(64.06점) 분야의 점수가 높았습니다. 상대적으로 주거환경 분야(46.78점)의 점수가 낮았습니다. 세부항목으로는 대기 환경 점수가 41.27점으로 매우 낮고 문화여가 생활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6위 군포시
군포시의 사회안전지수 총 점수 및 전국 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 총 점수: 58.72점
- 전국 순위: 11위
2022년 15위에서 2023년 순위가 4단계 상승했습니다. 군포시는 경제활동 분야의 점수(56.70점)가 낮은 대신 생활안전 분야 점수(65.13점)가 경기도 도시 중 3번째로 높았습니다. 그 중에서도 교통안전 항목이 71.90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습니다. 반면 문화, 여가 생활이 부족한 도시로 나타났습니다.
▶ 7위 용인시
용인시의 사회안전지수 총 점수 및 전국 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 총 점수: 58.20점
- 전국 순위: 14위
용인시는 전국 인구 100만 이상 특례시 중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했습니다. 용인시도 경제활동 분야(62.54점)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습니다. 용인시는 2021년 UN환경계획이 공인하는 국제대회인 리브컴 어워즈(LivCom Awards)에서 '살기 좋은 도시상' 부문 은상을 수상했습니다. 안정적인 소득과 높은 재정자립도로 도시의 선순환 구조를 이루고 있습니다.
▶ 8위 고양시
고양시의 사회안전지수 총 점수 및 전국 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 총 점수: 58.19점
- 전국 순위: 15위
고양시는 2022년 8위에서 2023년 15위로 순위가 7단계 하락했습니다. 고양시도 경제활동 분야가 61.62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나머지 3개 분야도 괜찮은 점수를 받았습니다. 세부항목별로는 건강, 소득, 주거, 교육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습니다. 고양시는 잘 갖추어진 생활 인프라의 영향으로 매년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9위 화성시
화성시의 사회안전지수 총 점수 및 전국 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 총 점수: 57.86점
- 전국 순위: 17위
화성시도 2022년에 비해 순위가 10단계 하락했습니다. 화성시는 경제활동 분야가 다른 분야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습니다. 경제활동 분야 점수가 68.47점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여주었습니다. 화성시는 지역내 총생산이 약 81조 원으로 서울시 강남구보다 높습니다.
▶ 10위 수원시
수원시의 사회안전지수 총 점수 및 전국 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 총 점수: 57.68점
- 전국 순위: 20위
수원시는 2022년에 비해 순위가 10단계 하락했습니다. 특히 생활안전(56.06점) 분야의 점수가 낮았습니다. 수원은 삼성의 핵심 도시로 경제활동 분야가 64.24점으로 다른 3가지 분야에 비해 월등히 높았습니다. 세부항목별로는 문화, 여가 부분의 점수가 높았습니다.
▶ 11위 김포시
김포시의 사회안전지수 총 점수 및 전국 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 총 점수: 57.55점
- 전국 순위: 21위
김포시는 한강신도시의 개발로 인구가 급격하게 상승하는 도시입니다. 최근 5년간 약 10만 명의 인구가 증가했습니다. 최근에 개발된 한강신도시의 영향으로 주건환경(49.25점) 분야에서 다른 도시에 비해 높은 점수를 받았습니다. 경제활동 분야가 61점대로 4가지 분야 중 가장 높았습니다.
▶ 12위 구리시
구리시의 사회안전지수 총 점수 및 전국 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 총 점수: 57.32점
- 전국 순위: 23위
구리시는 2022년 59.04점으로 전국에서 6위를 기록했으나 2023년에는 17계단 하락하여 23위를 기록했습니다. 생활안전분야와 건강보건분야가 61점대로 높은 점수를 기록했습니다. 구리시도 오래 전에 개발된 도시로 주거환경분야의 점수가 낮게 나왔습니다.
▶ 13위 광명시
광명시의 사회안전지수 총 점수 및 전국 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 총 점수: 57.16점
- 전국 순위: 26위
광명시는 생활안전 분야에서 60.73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습니다. 1990년대 초반에 형성된 오래된 도시로 주거환경 분야가 46.67점으로 낮은 점수를 기록했습니다. 현재는 재건축 및 재개발이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는 지역으로 향후에 주거 환경이 크게 개선 될 지역으로 예상됩니다.
▶ 14위 남양주시
남양주의 사회안전지수 총 점수 및 전국 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 총 점수: 55.06점
- 전국 순위: 45위
남양주는 다른 경기도 도시에 비해 경제활동(54.35점) 점수가 낮았지만 생활안전(58.49점) 분야의 점수가 높았습니다. 대학병원이 없는 관계로 건강보건(52.47점) 분야의 점수도 상대적으로 낮았습니다. 다산신도시, 별내신도시 등 최근에 생겨난 신도시의 영향으로 주거환경 분야(54.16점)는 경기도에서 두 번째로 높은 점수를 받았습니다.
▶ 15위 부천시
부천시의 사회안전지수 총 점수 및 전국 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 총 점수: 54.96점
- 전국 순위: 47위
부천시는 낮은 재정자립도와 산업시설의 기반이 약해 다른 경기도 대도시에 비해 낮은 순위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주건환경분야의 점수가 낮았습니다. 부천시는 중동과 상동지역을 비롯한 대부분의 지역이 1980년대 개발된 지역입니다. 전국에서 인구 밀도가 가장 높은 도시이며 오래된 아파트 밀집 지역입니다. 높은 인구 밀도와 노후화로 인구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습니다.
경기도 살기 좋은 도시 순위를 정리하면서 경기도 내 도시들은 대체로 경제활동 분야의 점수가 높게 나왔고, 주거환경 분야의 점수는 낮게 나온 것을 알 수 있었는데요. 경부선 라인을 중심으로 한 경제 성장 정책으로 일자리 관련 인프라가 집중되고 있는 반면 늘어나는 인구와 개발이 오래된 도시들이 많아 주거환경이 좋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2023년 살기 좋은 도시 순위에서는 과천시, 의왕시, 안양시, 군포시 등 생활안전 분야의 점수를 높게 받은 도시들이 높은 순위를 기록했습니다. 반면에 화성시, 수원시 등 서울 접근성이 좋지 못한 도시들과 구리시, 부천시 등 노후한 도시들의 순위가 크게 하락했습니다. 건강보건 차원이 주로 우수했던 서울 상위권 지역과는 달리 경기도 상위권 지역은 생활안전 분야에서 전반적으로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GTX A노선 수서 동탄 운행 요금 및 소요시간과 개통 일정 알아보기 (0) | 2023.10.16 |
---|---|
인서울 대학 주변 원룸 월세 가격 알아보기 (0) | 2023.10.13 |
아파트 브랜드별 하자 분쟁 많은 건설사 순위 (0) | 2023.09.29 |
대곡소사선 노선 및 정차역 중 GTX 환승역 정리 (0) | 2023.02.07 |
종합부동산세 세율 및 공제금액 개정안 정리 (0) | 2023.01.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