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는 무료로 국가 건강검진을 시행하고 있다. 대한민국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하며, 2년마다 한 번씩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다. 우리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아주 중요한 제도인데, 여기서 더 중요한 건 좋은 건강검진 병원을 선택해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병원을 선택하는 특별한 기준이 없다 보니 대부분 거주하는 동네에 있는 자주 가는 병원을 선택하거나 예전에 한 번 검진을 받았던 병원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건강검진받기 전 좋은 병원을 선택하는 기준이 되는 검진기관 평가정보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건강검진 받기 전 병원 선택이 중요한 이유
흔히 건강검진은 아무 병원에서 받아도 다 똑같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일반 환자들의 입장에서는 병원에서 하는 건강검진이고 똑같이 내시경, 초음파 이런 장비로 하는 건강검진이니까 다 거기서 거기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다. 건강검진을 대충 하거나 형식적으로 하는 병원을 선택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는 다음과 같다.
- 장기를 검진 할 때 표준 영상을 다 찍어야 하는데 그러지 않고 몇 장만 찍어 놓는다든가
- 엉뚱한 곳의 사진만 찍어 놓는다든가
- 영상 화질이 너무 떨어져서 제대로 볼 수 없는 경우라든다
- 의사의 소견서가 없다든가 이런 문제점을 가진 병원들이 의외로 많다는 겁니다.
위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정작 중요한 부위를 놓치게 되고 제대로 된 검진이 되지 않아서 문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무 이상이 없다는 결론을 받을 수도 있다. 즉 검진 결과를 신뢰할 수 없다는 얘기가 되는 것이다. 그런데 더 큰 문제는 환자들은 이런 걸 알 수조차 없다는 것이다. 건강검진했는데 아무 이상이 없다는 결과가 나왔기 때문에 건강하다고 생각하며 살다가 나중에서야 어떠한 병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는 것이다. 심한 경우 뒤늦게 예상치 못한 암이 발견될 수도 있다. 어떻게 보면 건강검진을 안 하느니만 못할 수도 있는 상황을 마주할지도 모른다. 아예 검진을 받지 않았다면 차라리 조금의 걱정이라도 안고 살아갈 텐데, 검진 후 이상이 없다고 하면 건강하다고 자신하면서 문제를 키울 수도 있기 때문이다.
검진기관 평가정보를 이용한 건강검진 병원 선택
그래서 우리가 건강검진을 받기 전 제대로 된 검진기관을 선택하는 방법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검진기관 평가정보이다. 검진기관 평가정보는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공단은 검진기관 평가를 실시하여 검진기관 평가정보를 제공하고 있는데, 평가는 최우수, 우수, 보통, 미흡 이렇게 총 4등급으로 이루어져 있다. 90점 이상은 우수, 60점 이상 90점 미만은 보통, 60점 미만은 미흡 등급을 받게 된다. 그리고 검진 유형별 평가결과 상위 10% 이내이면서 검진 유형을 구성하는 평가 분야 모두 우수인 경우 최우수 등급을 받게 된다고 하는데 최우수 등급을 받기가 까다롭다 보니 대부분이 우수 또는 보통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문제가 되는 검진기관은 바로 미흡 등급이다. 검진기관이 연속으로 미흡 등급을 받을 경우 행정처분까지 받게 된다. 2회 연속 미흡은 업무정지, 3개월 3회 연속 미흡은 검진기관 지정 취소까지 된다고 하니 그동안 검진을 받아왔던 병원 또는 검진 예정인 병원이 검진 기관 평가에서 어떤 등급을 받았는지 꼭 확인을 해 볼 필요가 있다.
검진기관 평가정보 확인 방법
검진기관 평가정보는 아래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 접속한 후 다음과 같은 방법에 따라 확인할 수 있다.
- 메인화면 우측 상단에 있는 가로 세 개 아이콘을 클릭한다.
- 왼쪽 메뉴에서 [건강iN]을 클릭한다.
- 오른쪽 메뉴에서 스크롤을 내려 '검진기관/병원찾기' 항목을 찾은 후 [검진기관 평가정보]를 클릭한다.
- 원하는 지역을 선택한 후 [검색]을 클릭한다.
위 단계에 따라 진행하면 입력한 지역 주변에 있는 병원 목록이 나오고, 해당 병원에 대한 평가 결과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영유아, 구강, 위암, 대장암, 간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폐암 이렇게 각각의 검진 항목별 평가 결과도 선택하여 확인할 수 있으니 건강검진받기 전 병원 선택 시 반드시 검진기관 평가정보를 확인해 보기를 추천한다.
'일상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세 환급 및 연납제도 신청하고 할인 받기 (0) | 2022.06.13 |
---|---|
자동차 구매 시 내는 세금 및 개별소비세 할인 내용 정리 (0) | 2022.06.12 |
장기수선충당금 돌려 받는 방법 (0) | 2022.06.11 |
아파트 선수관리비 돌려 받는 방법 (0) | 2022.06.10 |
119안심콜 서비스 내용 및 신청 방법 알아보기 (0) | 2022.06.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