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재테크

청년도약계좌 소득 기준 및 정부 지원금 혜택 알아보기

by ㅿㆁ 2023. 3. 13.

청년도약계좌 가입을 위한 소득, 나이 조건과 신청자 소득에 따른 정부 지원금 및 비과세 혜택 적용 여부에 대한 상세 내용이 공개되었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청년희망적금 후속 제도로 볼 수 있는데, 청년희망적금과 중복가입이 불가하므로 새 계좌를 개설하고 가입해야 합니다.

 

 

 

청년도약계좌란 매달 계좌에 최대 70만원씩 저축하는 경우 정부가 기여금이라는 명목으로 지원금을 지급해 주며, 만기 시 원금과 이자를 찾을 때 이자소득에 대해 세금을 부과하지 않는 제도입니다. 청년도약계좌와 유사한 청년희망적금 제도가 운용되고 있었는데요.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의 차이 및 비교 관련 내용은 아래 글에서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가입 조건 비교 및 목돈 만들기

청년도약계좌는 정부에서 제공하는 목돈만들기 금융 상품으로 월 최대 70만원씩 5년 만기로 저축 가능합니다. 정부는 월 적립액의 최대 6%까지 지원해 주고 비과세 및 월복리 혜택이 적용되는데

pkcl.tistory.com

 

청년도약계좌 소득 대상

청년도약계좌 관련 이전 발표에 따르면 가입을 위한 소득 기준이 6,000만원 이하였는데요. 이번 최신 개정 내용을 보면 소득이 7,500만원 이하로 확대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더 많은 분들이 가입할 수 있게 되었는데요. 개정된 소득 기준에 따른 청년도약계좌 가입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만 19세~만 34세(군필자의 경우 군복무 기간을 본인 나이에서 제외하면 됨)
  • 전년도 기준 소득이 7,500만원 이하
  • 전년도 가구 소득이 중위 180% 이하(주민등록등본에 기재된 가구원의 모든 소득을 합친 금액이 월 910만원 이하면 됨)

소득은 전년도를 기준으로 책정하기 때문에 올해 취업하여 작년에 소득이 없었던 분들은 가입이 불가합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청년도약계좌 소득별 지원금 혜택

청년도약계좌에 가입 후 매월 최대 70만원 한도 내에서 저축을 시작하면 기여금이라는 이름으로 정부 지원금이 제공됩니다. 기여금은 가입자 소득에 따라 다르게 제공되는데요. 소득에 따른 월 납입한도 및 기여금 한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소득별 납입 및 기여금 지원 한도
청년도약계좌 소득별 납입 및 기여금 지원 한도

위 그림과 같이 소득에 따라 기여금 지급한도가 다른데요. 즉 소득과 상관없이 매월 납입 가능한 최대한도는 70만원이지만, 제공되는 지원금은 소득에 따라 다릅니다.

 

예시 1

소득이 2400만원 이하인 가입자의 기여금 지급한도는 40만원입니다. 다시 말해 매달 70만원이 아닌 40만원만 저축해도 최대 기여금인 24,000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매달 70만원을 저축해도 기여금은 24,000원으로 동일합니다.

 

예시 2

소득이 4,800만원 초과~6,000만원 이하인 가입자의 경우 최대 기여금은 21,000원인데요. 21,000원을 모두 받으려면 매달 70만원을 저축해야 합니다.

 

청년도약계좌 금리는 최소 3년간 고정금리가 적용되며, 이후 2년간 변동금리가 적용될 예정인데요. 고정금리를 몇 퍼센트로 적용할지에 대해서는 현재 논의 중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중도해지 불이익

청년도약계좌 가입 후 개인 사정에 따라 중도해지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중도해지하는 경우 정부 기여금(지원금) 및 비과세 혜택이 제공되지 않는 불이익을 받게 됩니다. 단 아래와 같은 사유로 중도해지하는 경우에는 불이익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 가입자의 사망, 해외이주, 퇴직
  • 가입자가 장기치료가 필요한 질병에 걸린 경우
  • 회사 폐업
  • 천재지변

 

 

청년도약계좌 소득 기준 / 지원금 / 납입 한도
청년도약계좌 소득 기준 / 지원금 / 납입 한도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중 하나인 소득 기준이 6,000만원에서 7,500만원으로 상향 조정되어 정부 지원금 혜택 대상이 되는 청년층이 보다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월 최대 납입 한도는 70만원이지만 개인 소득 수준에 따라 꼭 70만원을 저축하지 않더라도 기여금을 지급받을 수 있는데요. 기여금을 받지 못하더라도 비과세 혜택은 소득 수준과 상관없이 받을 수 있으니 가입 조건에 해당하시는 분들은 계좌 신청이 시작되는 대로 꼭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시면 좋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