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재테크

채권 투자 전 알아야 할 기초 지식 정리(+장단점 및 위험성)

by ㅿㆁ 2023. 3. 10.

채권도 주식처럼 증권사 HTS 및 MTS를 통해 언제든지 매매가 가능합니다. 주식은 변동성이 큰 반면 채권은 지속적으로 이자를 지급하고 채권을 발행한 기관 및 기업이 부도나지 않는 이상 원금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중간에 팔아 시세차익도 챙길 수 있습니다.

 

 

채권이란(주식과 다른점)

채권은 정부나 기업에서 자금 조달을 위해 사용하는 수단 중 하나입니다. 자금을 조달한다는 건 결국 돈을 빌린다 또는 빚을 진다는 의미인데요. 이렇게 빌리거나 빚진 돈을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 갚겠다고 약속한 문서가 바로 채권입니다. 해당 문서를 쉽게 사고팔 수 있도록 증권화하여 증권사 앱이나 HTS를 통해 간단하게 채권 거래를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채권이나 주식을 투자하는 목적은 똑같이 수익을 내기 위해서입니다. 그런데 흔히 채권이 주식보다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얘기하는데요. 그 이유는 채권과 주식은 아래와 같은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 주식: 회사가 사업을 통해 큰 수익을 낸 경우 주가가 오르게 되면 내 자산도 그만큼 늘어납니다. 반대로 사업 성과가 좋지 않으면 주가가 떨어지면서 내 자산도 하락하게 됩니다.
  • 채권: 회사가 사업을 통해 창출하는 수익의 크기와 상관없이 정해진 기간 뒤에 약속한 이자와 원금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채권과 주식 차이
출처: 카카오뱅크 홈페이지

 

 

채권 투자 장점 및 단점

채권 투자의 장점 및 단점(위험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장점

  • 채권을 팔기 전까지 계속 이자를 받을 수 있음
  • 채권 만기일이 되면 원금을 받을 수 있음
  • 만기 전 판매 시 수익을 볼 수 있음

단점

  • 채권을 발행한 정부 및 기업이 부도나면 이자 및 원금 받을 수 없음
  • 만기 전 판매 시 손해를 볼 수 있음

앞서 정부 및 기업은 채권을 통해 자금을 조달한다고 말씀드렸는데요. 따라서 채권 투자, 즉 채권을 매수하면 해당 채권을 발행한 정부나 기업에게 돈을 빌려주게 되는 것입니다. 돈을 빌려주었기 때문에 채권을 팔기 전까지는 지속적으로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만기일이 되면 투자 원금을 돌려받게 됩니다.

 

또한 채권은 쉽게 거래가 가능하기 때문에 이자를 잘 받고 있다가 만기일 전이라도 채권 가격이 상승한 경우 판매하여 시세 차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채권 가격이 매수한 가격보다 하락한 경우 손해를 볼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채권 투자의 가장 큰 위험성은 정부나 기업이 부도난 경우 해당 채권은 더 이상 가치가 없는 휴지조각이 되어 이자와 원금을 찾을 수 없게 된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선진국이나 우량한 기업의 경우 부도날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채권 투자하기 좋은 시기

채권 매수에 가장 좋은 시기는 금리가 결정하는데요. 금리라는 단어 때문에 괜히 복잡하게 생각하실 필요 없이 쉽게 채권 가격은 금리와 반대로 움직인다는 것만 기억하시면 됩니다.

  • 금리가 낮은 시기에는 채권의 가치가 높아지므로 채권 가격이 상승함
  • 금리가 높은 시기에는 채권의 가치가 낮아지므로 채권 가격이 하락함

저금리 시기에 채권을 사서 고금리 시기에 팔면 투자한 원금과 함께 상승한 채권 가격을 통해 시세 차익까지 가져갈 수 있습니다. 이 글을 작성하는 시점 기준으로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쉽게 해소될 기미가 보이지 않아 연준은 계속해서 기준금리 인상 압박을 받고 있는 상황인데요. 따라서 지금과 같은 시기에 채권을 조금씩 사서 모아두었다가 추후 경기침체 우려로 인해 기준금리를 낮추는 시기에 팔면 괜찮은 시세 차익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채권 투자 기본 개념 정리
채권 투자 기본 개념 정리

 

채권 투자라고 하면 주식과 달리 뭔가 어렵고 전문가 영역으로 느껴지는 게 사실인데요. 하지만 매매 방법은 주식과 다르지 않습니다. 또한 안전한 정부나 기관 또는 신용도 높은 우량한 기업의 채권은 주식과 비교하여 훨씬 안정성이 높고 적지 않은 수익도 기대해 볼 수 있는데요. 채권 가격은 금리와 반대로 움직이기 때문에 요즘처럼 기준 금리가 많이 오르고 계속해서 상승 압박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는 주식 비중을 줄이고 채권을 매수해 보시는 것도 현명한 투자 전략이 될 것 같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