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읽을거리

옷 안 입는 아이 문제점과 해결 방법

by ㅿㆁ 2022. 7. 15.

피부는 제2의 두뇌라고 불릴 정도로 무수한 신경세포를 가지고 있으며 두뇌 발달에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기분 좋은 촉감과 엄마 아빠와의 스킨십은 아이에게 좋은 자극이 됩니다. 영유아기의 경우 특히 감각에 예민한 시기라 옷 입는 것을 싫어하기도 합니다. 오늘은 옷 입기를 힘들어하는 아이의 상황과 아이에게 옷 입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옷 안 입는 상황 및 해결 방법

외출 준비로 바쁜데 아이가 옷을 안 입는 경우 난감하게 됩니다. 아이가 옷을 안 입는 상황과 문제 해결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 옷 촉감의 문제
    6개월~3세의 영유아기의 아이들은 감각에 예민한 시기로 촉감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까끌거리는 천이나 옷의 라벨 부분의 불편함을 느낀 적이 있거나 목부분이 답답하고 불편한 옷을 경험한 적이 있는 아이는 옷 입기를 거부하기도 합니다.
    [해결 방법]
    아이가 옷에 거부감을 느끼지 않도록 목욕 후 로션을 바르거나 자기 전 대화를 할 때 맨손으로 부드럽게 마사지를 해주면 도움이 됩니다. 아이는 부모와의 스킨십을 통해 자연스럽게 자극에 적응하게 됩니다.

  • 옷 입는 과정의 문제
    아이에게 옷을 입힐 때 엄마 아빠가 손과 발을 잡고 옷을 입히는 과정은 아이에게 힘든 일입니다. 옷을 입고 옷매무새까지 단정하게 마쳐야 옷을 입는 과정이 끝나기 때문에 아이는 옷 입는 과정이 길고 지루해 짜증이 날 수 있습니다.
    [해결 방법]
    거울 앞에서 옷을 입히면서 아이에게 ‘옷소매를 더 올려야겠다.’ ‘바지가 옆으로 돌아갔네?’라고 얘기해 준다면 아이는 조금씩 옷 입는 과정을 적응하게 됩니다.

  • 옷 입는 타이밍의 문제
    한창 놀이에 집중하고 있는 아이의 옷을 다 벗기고 다른 옷을 억지로 입히는 경우 아이의 입장에서는 짜증이 날 수 있습니다.
    [해결 방법]
    아이에게 놀이를 마무리하고 옷을 입어야 된다는 상황을 알려주세요. 평소에 옷을 갈아입힐 때 아이에게 ‘우리 조금 있다가 옷 갈아입자.’ ‘놀이 다 하면 옷 갈아입자’라고 미리 알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 이유 없는 거부
    외출 시 옷을 갈아입을 때마다 엄마 아빠와 실랑이가 벌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해결방법]
    외출 자체에 거부감이 있는 건 아닌지 살펴봐야 합니다. 집에 돌아온 아이에게 오늘 하루는 어땠는지 아이와 대화하는 습관을 가져야 하며 평소 외출 준비를 할 때 아이를 재촉하진 않았는지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아이 옷 입히는 방법

옷 입기를 불편하고 힘들어하는 아이에게 옷 입히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 외출 계획 알려주기
    아이에게 외출시간과 옷 갈아입어야 할 시간을 미리 알려주세요. 외출하기 30분 전쯤 아이에게 미리 외출 계획을 말해 주면 아이는 미리 옷을 갈아입고 준비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다음 날 입을 옷을 아이와 함께 미리 골라두면 외출 시간을 절약하고 외출 당일 옷에 대한 실랑이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옷을 고른 후 잘 보이는 곳이 걸어두고 아이에게 내일 이 옷을 입고 어떤 하루를 보내고 싶은지에 대해 대화를 나누면 아이의 기대감을 자극할 수 있으며 다음날 선택한 옷을 거부감 없이 입을 수 있습니다.
  • 재미있는 옷 입기
    외출 때문에 마음은 급한데 아이가 옷을 안 입는 경우 엄마 아빠는 아이를 다그치고 힘으로 제압해 옷을 입히게 됩니다. 이에 아이는 부모에게 상처받게 되고 옷 입기에도 부정적인 감정을 가지게 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시간적 여유를 두고 옷을 갈아입으면서 하나의 놀이처럼 느끼게 해주는 것입니다. 옷을 입으며 손발이 나올 때마다 ‘안녕’하고 인사를 해주거나 옷 먼저 갈아입기 게임을 하면서 아이가 몰입하며 재미있게 느낄 수 있는 상황을 만들어 줍니다. 또한 거울을 앞에 두고 옷을 입는 경우 자신이 옷을 다 갈아입었다는 성취감을 줄 수 있어 아이에게 좋은 효과를 줍니다.

 

 

오늘은 아이에게 옷 입히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아이가 옷 입기를 힘들어하는 경우  옷 입기를 하나의 과정으로 생각하고 시간적 여유를 두어야 합니다. 위에 언급한 대로 전날에 미리 입을 옷을 함께 고르고 대화하거나 옷 입기 게임으로 아이가 재미를 느낄 수 있게 해주어야 합니다. 엄마 아빠가 아이가 싫어하고 거부하는 행동에 대해 관심을 갖고 노력한다면 바르게 아이의 행동이 개선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