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안내렌즈삽입술의 종류와 부작용

by ㅿㆁ 2022. 4. 10.

시력교정술을 진행하고 싶지만 레이저로 각막을 깎아내는 부담 때문에 안내렌즈삽입술을 선호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안내렌즈 삽입술의 종류와 수술방법, 단점에 대해 알아보았다. 

  

안내렌즈삽입술의 정의

안내렌즈삽입술이란 2.8~3mm의 절개창을 통해 렌즈를 삽입하는 수술이며 레이저를 이용하는 시력교정술과는 다르게 렌즈가 눈 안에 삽입되는 수술이라 문제가 생기면 쉽게 제거도 가능하다. 보통은 고도근시인 사람은 자신의 도수만큼 레이저로 각막을 깎아내면 잔여각막이 많이 남지 않게 될 가능성이 높고, 많은 각막을 깎아내는 것에 대한 부작용의 우려로 레이저를 사용한 시력교정술을 결정하기 부담스러워하기 때문에 고도근시인 경우는 일반적으로 안내렌즈삽입술을 진행한다. 안내렌즈삽입술시 시력의 만족도는 높은 편이며, 시행된 지 25년이 넘어 장기적으로 안정성이 입증된 수술이지만 렌즈삽입술의 가능 여부는 안과에서 정밀검사를 통해 확인을 해야 한다.  

 

안내렌즈삽입술의 종류

 

 

안내렌즈 삽입술은 홍채 앞에 렌즈를 삽입하는 전방 안내렌즈와 홍채와 수정체 사이에 삽입하는 후방 안내렌즈가 있다. 홍채 앞에 렌즈를 삽입하는 전방 안내렌즈는 알티산(Artisan), 알티플렉스(Artiflex) 렌즈가 있으며, 전방 안내렌즈삽입술의 경우 알티플렉스를 많이 사용한다. 홍채와 수정체 사이에 삽입하는 후방 안내렌즈는 다양한 회사에서 제조하고 있으며 ICL렌즈를 사용하고 있다. 

 

안내렌즈삽입술의 부작용

 

 

전방 렌즈삽입술의 경우는 수술 후 내피세포가 손상되는 경우가 많아 현재는 많이 진행하지 않고 있으며, 후방렌즈삽입술인 ICL렌즈로 수술을 주고 진행하고 있다. 후방 안내렌즈 삽입술은 수술에 들어갈 렌즈 사이즈의 잘못된 컴펌으로 수정체에 영향을 끼쳐 백내장이 발생할 수 있으니 숙련된 의사에게 수술을 진행해야 하며 백내장이 발생한 경우는 백내장 수술을 진행해야 한다. 

 

결론

시력교정술은 눈 안에 렌즈를 삽입하는 수술이기 때문에 반드시 숙련된 의사에게 진행해야 하며, 안과에서 정밀검사를 통해 자신의 눈에 대해 정확히 확인하고, 부작용에 대한 정보도 조사 후 진행해야 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