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내장이란 눈 안의 수정체가 혼탁해져 빛을 제대로 통과시키지 못하게 되면서 안개가 낀 것처럼 뿌옇고 흐릿하게 보이게 되는 질환을 말하며 정상적인 노화 과정의 하나이다. 하지만 노화로 인한 백내장뿐만 아니라 다른 원인에 의한 백내장도 발생할 수 있다. 그럼 백내장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
백내장의 종류
백내장은 노인성 백내장뿐만 아니라 다양한 원인으로도 발생될 수도 있다. 백내장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았다.
- 선천성 백내장: 선천성 백내장은 외상이나 안질환 등의 특별한 병력이 없이 태어날 때부터 선천적으로 수정체가 혼탁한 경우이다. 대게는 선천적으로 발생하는 백내장이지만 생후 진행되는 경우도 있다. 초기에 치료시기를 놓치게 되면 시각 기능이 제대로 발달하지 못해 약시나 시력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 후발성 백내장: 후발성 백내장은 백내장 수술 시 인공수정체가 들어간 자리인 수정체낭에 혼탁이 발생하여 시력저하감이 생기는 것으로 안과에서 간단한 레이저 치료로 회복이 가능하다.
- 외상성 백내장: 외상성 백내장은 외상으로 다친 후 수정체가 파열되거나, 타박상으로 수정체에 혼탁이 생기게 되는 경우를 말한다. 눈의 내부 손상으로 수개월이 지나 수정체낭의 후낭 부분에 혼탁이 발생해 시력저하감을 느끼는 질환이다.
- 노인성 백내장: 노인성 백내장은 원래는 투명했던 수정체가 나이가 들면서 서서히 혼탁해지게 되는 것을 말한다. 눈에 특별한 질환이 없다면 백내장 수술 후 정상시력에 가까운 회복이 가능하며, 노인성 백내장은 보통 시간이 지날수록 백내장이 심해지게 되지만, 수년이 지나도 초기 상태로 계속 유지되는 경우도 있다.
결론
백내장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다. 백내장은 수술 후에 주의점과 안약 사용이 중요하기 때문에 수술 후 눈 관리에 신경 써야 한다. 노인성 백내장은 수술 시기가 정해져 있지 않으며 본인이 백내장으로 인해 시력에 불편함이 있으면 수술을 진행하면 된다. 하지만 백내장이 너무 오래되면 딱딱해지므로 적당한 시기에 수술을 받는 것이 좋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력교정술 후 퇴행의 원인과 재수술 가능 여부 (0) | 2022.04.11 |
---|---|
안내렌즈삽입술의 종류와 부작용 (0) | 2022.04.10 |
생으로 먹으면 위험한 음식과 이유 (0) | 2022.04.07 |
가려움증의 원인 총정리 (0) | 2022.04.05 |
하이힐로 변형된 발은 교정이 가능할까? (0) | 2022.04.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