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읽을거리46

반려동물 등록 방법과 비용 잠시 한눈판 사이에 자신이 키우는 반려견을 잃어버리는 경우는 꽤 빈번하다. 이런 상황을 대비해 반려견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반려동물 등록을 해야 하며 우리나라에서 반려동물을 등록은 의무이다. 오늘은 반려동물을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반려동물 등록 방법 및 비용 3개월 이상 된 반려동물을 키우는 소유자는 동물의 보호와 유실 및 유기 방지, 질병의 관리 등을 위해 동물등록제를 통해 반드시 반려동물을 등록해야 한다. 반려동물을 등록하지 않은 소유자의 경우 100만 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받게 된다. 반려동물 등록이 가능한 동물병원에서 등록신청서 작성 등록 가능한 동물병원을 찾는 방법은 하단 설명 有 상담 후 마이크로칩 시술 또는 외장형 무선식별 장치 및 인식표 부착 마이크로칩 및 외장형 장치 .. 2022. 6. 20.
2023년 최저임금 드디어 1만 원 넘을 것인가 최저임금이란 국가가 노사 간 임금결정과정에 개입하여 임금의 최저 수준을 정해주고 근로자를 보호하는 제도이다. 이에 사용자는 법적으로 국가가 정한 수준 이상의 임금을 노동자에게 지급해야 한다. 매년 5~6월부터 열리는 전원회의에서는 노사위원들이 다음 연도 최저임금안에 대해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6월 29일까지 최저임금을 결정해야 하며 고용노동부 장관은 이 결정사항을 8월에 고시하게 된다. 내년 2023년 우리나라 최저임금은 1만 원을 넘길 가능성에 대해 논의되고 있다. 그 내용이 대해 알아보자. 2023년 최저시급 예상 금액 오는 21일 '최저임금위원회 제5차 전원회의'가 열릴 예정이다. 이 회의에서 민주노총 등 노동계는 시급을 올해보다 2,000원 이상 인상된 11,000원대를 제시할 것으로 예상되고 .. 2022. 6. 19.
연기연금제도와 국민연금 수령액과의 관계 개정된 국민연금 법안이 2022년 6월 22일부터 시행됩니다. 몇 가지 개정된 내용 중 연기연금제도가 가장 관심이 가는데, 그 이유는 국민연금 수령액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부분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연기연금제도의 변경되는 부분과 국민연금 수령액과의 연관성에 대해 얘기해 보려고 합니다. 연기연금제도 변경 내용 우선 연기연금제도와 관련하여 개정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현행: 연금수령시기를 연기하고자 하면 수급자가 희망하는 경우 1회에 한해서만 최대 5년까지 연장이 가능 개정: 5년 이내에서 1년마다 5년간 횟수에 상관없이 연기할 수 있도록 변경 즉 기존에는 5년 안에 연금 수령 시기를 1년이든 2년이든 한 번만 연기하면 기간이 남았다 하더라도 더 이상 추가로 연기를 할 수 없었는데, 이번에.. 2022. 6. 16.
건강보험료 부과 기준 2단계 개편 2022년 하반기부터 진행 건강보험료 부과 기준이 2022년 하반기부터 달라집니다. 2018년에 시작된 1단계 개편에서 2022년 하반기부터는 2단계 개편이 진행되는 건데요.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피부양자 모두에게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다가오는 하반기부터 건강보험료 부과 기준이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직장가입자 월급 외 소득 기준 강화 직장가입자의 경우는 직장에서 받는 근로소득과 월급을 제외한 월급 외 소득을 바탕으로 건강보험료가 책정됩니다. 여기서 월급 외 소득이란 사업소득 금융소득 주택임대 소득 연금소득 타 직장에서 받는 근로소득을 의미하는데요. 2022년 하반기부터 직장가입자 건강보험료에 대하여 변경되는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월급 외 소득 기준 축소 현.. 2022. 6.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