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율 감소 문제가 심해지면서 현재 고령사회인 한국은 머지않아 초고령사회에 진입을 앞두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구 노령화를 측정하는 노령화지수를 기준으로 청년층에 해당하는 젊은 인구가 많으면서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지역 및 도시를 정리해 봤습니다.
결혼, 출산, 자녀 교육 문제 등으로 신축 아파트를 분양받거나 기존 아파트를 매수하여 내 집 마련을 한 동네가 다른 곳에 비해 노령화된다면 추후 문제가 될 수 있는데요. 따라서 주거지 선택 전 이번 글에 정리한 젊은 층이 많이 거주하면서 인구까지 증가하고 있는 지역 및 도시를 참고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노령화 지수 낮은 지역/도시 순위
노령화 지수는 유소년층 인구(0~14세)에 대한 노년층 인구(65세 이상)의 비율로 인구 노령화 정도를 잘 보여주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노령화 지수에 따른 젊은 인구가 많이 거주하는 지역 및 도시 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 1위 세종특별자치시
세종시의 노령화 지수는 49.9이며, 인구 수는 38만 5,285명입니다. 2012년 11만 명에서 지금까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 2위 경기도 화성시
경기도 화성시의 노령화 지수는 51.2이며, 인구 수는 91만 8,865명입니다. 2014년 54만 명에서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 3위 울산광역시 북구
울산 북구의 노령화 지수는 52.1이며, 인구 수는 21만 8,696명입니다. 2012년 18만 명에서 증가하다가 2019년 21만 명에 정점을 찍고 증가세가 멈춘 상태입니다.

▶ 4위 부산광역시 강서구
부산 강서구의 노령화 지수는 58.6이며, 인구 수는 14만 2,886명입니다. 2012년 6만 명에서 현재까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 5위 광주광역시 광산구
광주 광산구의 노령화 지수는 63.5이며, 인구 수는 39만 9,669명입니다. 2015년 40만명대를 처음 돌파한 이후 인구 증가 추세 기울기가 완만해졌습니다. 2020년 40만 5천 명에 정점을 찍은 후 현재까지 인구가 다소 감소하고 있습니다.

▶ 6위 인천광역시 연수구
인천 연수구의 노령화 지수는 65.4이며, 인구 수는 38만 6,506명입니다. 2012년 29만 명대에서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여 현재는 40만 명에 근접한 상태입니다.

▶ 7위 경기도 오산시
경기도 오산시의 노령화 지수는 68.6이며, 인구 수는 22만 9,415명입니다. 2015년 20만 명대에서 완만하게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 8위 경상북도 구미시
경북 구미시의 노령화 지수는 69.2이며, 인구 수는 40만, 7387명입니다. 2017년 42만 명에 정점을 찍고 현재는 40만 명대로 인구가 감소했습니다.

▶ 9위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전 유성구의 노령화 지수는 69.4이며, 인구 수는 35만 8,189명입니다. 2012년 30만 명에서 2018년 35만 명까지 인구가 늘었다가 그 이후로는 35만 명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10위 경기도 시흥시
경기도 시흥시의 노령화 지수는 70.1이며, 인구는 51만 5,058명입니다. 2016년 40만 명에서 2020년 50만 명 대에 진입했습니다. 꾸준히 인구가 늘고 있는 도시입니다.

젊고 인구도 증가하는 도시
앞서 노령화 지수를 기준으로 젊은 인구가 많이 분포한 지역 및 도시 중 총인구도 증가하는 도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세종시
- 화성시
- 인천 연수구
- 부산 강서구
- 시흥시
- 오산시

이미 한국은 노령화 사회를 지나 고령사회가 되었기 때문에 인구 노령화는 전국적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앞서 살펴봤듯이 노령화 지수는 상대적으로 낮으면서도 전체 인구는 증가 추세에 있는 젊은 도시 및 지역이 존재하는데요. 도시가 젊을수록 아이를 위한 학교 및 학원과 같은 교육 기관과 병원, 마트, 문화 센터 등 거주 인프라가 잘 갖추어져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장기 거주하거나 내 집 마련을 위한 좋은 곳을 찾으실 때 앞서 언급한 지역 및 도시를 참고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읽을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시 지원 미달로 사라질 가능성 높은 지방 대학 정리(2024년 수시) (0) | 2023.10.05 |
---|---|
한국 의대 순위 알아보기(여러 국내외 평가 기준) (0) | 2023.03.05 |
폐교 가능성 높은 서울 초등학교 알아보기 (0) | 2023.03.03 |
양압기 사용 전 종류 및 비용 확인하기 (0) | 2023.02.27 |
국내 대학병원 순위 정리(2023년 해외 자료 기준) (0) | 2023.02.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