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조각투자를 활용하면 소액으로 건물 및 빌딩 소유주가 되어 소액 부동산 투자가 가능합니다. 부동산 조각투자 시 최소 투자 단위가 정해져 있는데요. 건물 공모 청약 시 수익증권 액면가액이 1만원이면 최소 1만원 만큼만 건물 지분에 대한 투자가 가능합니다.
부동산 조각투자란
부동산 조각투자는 한 건물 및 빌딩에 다수의 투자자가 함께 투자하여 지분을 나누어 가질 수 있는 투자 방식입니다. 각 투자자는 자신이 보유한 지분을 기준으로 해당 건물 및 빌딩으로부터 매달 나오는 임대료 및 시세 차익을 배당 형태로 받을 수 있습니다.
기존 방식대로 건물 및 빌딩을 소유하려면 매우 큰돈을 가지고 해당 건물을 매매해야만 하는데요. 부동산 조각투자는 건물의 일부 조각만을 매수하듯이 여러 투자자가 건물의 지분을 일부만 매수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소액 부동산 투자가 가능한 것입니다.
부동산 조각투자 방식
부동산 조각투자를 통해 여러 투자자가 한 건물에 투자하게 되는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실제 건물 소유주가 신탁사에게 건물 매도를 의뢰합니다.
- 신탁사는 건물에 대한 증권을 발행하기 위해 건물의 가치를 분할합니다.
- 신탁사는 발행한 증권을 부동산 조각투자 플랫폼에 올립니다.
- 투자자는 부동산 조각투자 플랫폼에 올라온 건물에 대한 증권을 매수합니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건물에 대한 증권을 보유하게 된 투자자들은 보유한 지분만큼 임대료 및 매매 수익을 받게 됩니다. 해당 증권은 일반 주식 증권과 동일한 자본시장법 규제를 받는 부동산신탁수익증권이므로 투자자는 법적으로 보호받습니다.
또한 투자한 건물의 소유권은 신탁사가 가지고 있는데요. 따라서 부동산 조각투자를 위해 이용한 플랫폼이 혹시나 망하더라도 투자금이 사라질 가능성은 낮습니다.
부동산 조각투자 방법
부동산 조각투자는 증권사 앱에서 주식을 매수하는 것처럼 간단한데요. 부동산 조각투자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구글 플레이 스토어 또는 애플 앱스토어에서 카사, 소유와 같은 부동산 조각투자 앱을 설치합니다.
- 투자금을 입금한 후 원하는 건물 지분에 대한 증권을 매수합니다.
- 또는 원하는 건물에 대한 청약 공고가 나오면 청약을 신청합니다. 청약은 선착순으로 진행됩니다.
단, 부동산 조각투자는 일반 주식과 달리 투자 한도가 정해져 있는데요. 투자자별 투자 한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 일반 투자자의 경우 투자 한도는 연 최대 2,000만원 입니다.
- 소득적격 투자자의 경우 투자 한도는 연 최대 4,000만원 입니다.
부동산 리츠 및 조각투자 차이
리츠도 부동산 조각투자와 같이 소액 부동산 투자가 가능한 투자 방법입니다. 리츠와 부동산 조각투자 모두 보유한 증권을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기 때문에 원할 때마다 빠르게 현금화할 수 있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리츠와 부동산 조각투자의 차이점은 투자 대상이 다르다는 것입니다. 리츠는 다수의 부동산 및 부동산 관련 대출 상품에 투자하는 반면 부동산 조각투자는 한 건물에 대해서만 투자가 이루어지는데요. 따라서 부동산 조각투자는 리츠 대비 아래와 같은 장점이 있습니다.
- 투자하고 싶은 건물을 찾아 해당 건물에만 투자가 가능함
- 한 건물에만 투자하기 때문에 예상 수익률을 산정하기 쉬움
부동산 투자는 주식이나 코인과 달리 목돈이 필요하기 때문에 초보 투자자들은 쉽게 접근하지 못하는 게 사실인데요. 하지만 부동산 조각투자를 활용하면 건물 지분의 일부만 소유하는 방식으로 소액 부동산 투자가 가능합니다. 또한 거래 방식도 일반 주식이나 코인과 동일하기 때문에 평소에 자금이 부족해 부동산 투자를 생각하지 못하신 분들이라면 부동산 조각투자에 관심 가져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투자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GER 글로벌멀티에셋TIF액티브 ETF 수수료 및 월 배당금 (0) | 2022.11.12 |
---|---|
업비트 로그인 방식 변경하기 (0) | 2022.11.02 |
업비트 로그인 방법 변경 예정에 따른 핸드폰 상태 확인하기 (0) | 2022.10.06 |
브레이브 브라우저 사용하고 베이직어텐션토큰 BAT 보상 받기 (0) | 2022.09.25 |
미국 주식에 계속 장기 투자해야 하는 이유 및 전망 (0) | 2022.09.24 |
댓글